조달청, 30개 혁신제품에 지정서 수여 및 판로 지원 방안 발표
2025년 1월 16일, 조달청은 서울지방조달청 PPS홀에서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30개 혁신제품에 대해 지정서를 수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혁신제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다양한 지원 방안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조달청은 지정된 혁신제품의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혁신제품 지정 혜택, 판로 전략, 혁신제품 단가계약 및 시범구매 업무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혁신제품 구매제도는 정부가 혁신제품의 첫 구매자가 되어 초기 판로를 제공하고, 민간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정책으로,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최대 6년간 수의계약이 가능하며, 조달청 예산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등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다.
2019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총 2,280개의 혁신제품이 지정되어 2조 7천억 원의 실적을 올린 바 있다. 이번에 지정된 혁신제품은 우회전 단속 시스템, 스마트 누수탐지기, 의료폐기물 분쇄 장치, 무인주차 안내 시스템, 양자기술 기반 인증 서비스, 소리 기반 인공지능(AI) 무인 감시 솔루션, 이동식 주유기 등 신성장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공공부문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조달청은 혁신제품 기업들이 공공조달 판로를 통해 성장하고, 해외조달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에는 임차, 연구개발(R&D), 해외실증, 공적개발원조(ODA) 등 6년 차에 접어든 혁신제품 공공구매의 성과 도약을 위해 전방위로 지원할 계획이다.
조달청은 혁신제품 시범구매 시 다양한 수요환경에 대응하고, 고가 및 첨단 장비에 대해서도 시범구매를 지원하기 위해 임차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또한, 국민안전과 의료보건 등 공공 긴급 현안을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혁신기술을 활용한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설 방침이다.
특히, 시범구매 해외실증 금액도 140억 원까지 늘리고, 실증에 수반되는 부대비용까지 통합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지원은 혁신기업들이 기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중소·벤처기업들이 도전 성장하여 해외로 도약할 수 있는 혁신 생태계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도 혁신기업들이 기술 개발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중소·벤처기업들이 기술 개발을 통해 도전 성장하고 해외로 도약하는 혁신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혁신제품 지정과 지원 방안은 공공부문에서의 혁신과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엔에스의 '스마트 안전 배전반'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이는 안전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한 혁신적인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앞으로도 이러한 혁신제품들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